본문 바로가기
정보

2025년 가족돌봄휴가 정책, 신청 방법, 지원금

by 함리스타 2025. 2. 13.

2025년 가족돌봄휴가는 근로자가 가족의 질병, 사고, 노령 등의 이유로 일정 기간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. 기존의 가족돌봄휴가 제도에 비해 신청 절차가 간소화되고, 사용 가능 일수가 확대되는 등 여러 변화가 있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2025년 가족돌봄휴가 정책의 신청 방법, 지원금 지급 기준, 변경 사항 및 주의할 점을 상세히 정리하였습니다. 가족돌봄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분이라면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가족돌봄휴가 신청방법
2025년 가족돌봄휴가 신청

2025년 가족돌봄휴가란?

가족돌봄휴가는 근로자가 부모, 배우자, 자녀 또는 배우자의 부모를 돌보기 위해 일정 기간 사용할 수 있는 단기 휴가 제도입니다. 최대 연간 10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, 하루 단위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.

가족돌봄휴직(최대 90일)과는 다르게, 가족돌봄휴가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업무를 쉬면서 가족을 돌볼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
가족돌봄휴가 신청 방법

신청 대상

  •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모든 사업장 근로자
  • 가족(부모, 배우자, 자녀, 배우자의 부모)의 질병, 사고, 노령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경우

사용 가능 기간

  • 연간 최대 10일 사용 가능
  • 하루 단위 또는 연속 사용 가능 (예: 3일 연속 사용 후, 나중에 2일 추가 사용 가능)
  • 가족돌봄휴직(최대 90일)과 별개로 사용 가능

신청 절차

  1. 고용주에게 사전 통보: 사용 예정일 최소 1일 전까지 신청해야 하며, 긴급한 상황에서는 사전 통보 없이도 신청 가능
  2. 휴가 신청서 제출: 회사의 인사(HR) 부서 또는 고용노동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신청
  3. 승인 후 휴가 사용: 기업 규모에 따라 일부 유급 보장이 가능

가족돌봄휴가 지원금 및 혜택

가족돌봄휴가는 원칙적으로 무급 휴가이지만, 중소기업 근로자 및 저소득층 근로자의 경우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지원금 지급 대상

근로자 유형 지원금 지급 여부 1일 최대 지원금 최대 지원 기간
대기업 근로자 없음 (무급) 0원 해당 없음
중소기업 근로자 있음 5만 원 최대 10일
저소득 근로자 있음 (추가 지원 가능) 최대 7만 원 최대 10일

지원금 신청 방법

  1. 가족돌봄휴가 신청 승인 후, 고용노동부 가족돌봄비용 지원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  2. 신청서 및 관련 서류 제출 (급여 명세서, 휴가 승인서 등)
  3. 심사 후 지원금 지급 (최대 10일)

2025년 가족돌봄휴가 주요 변경 사항

1) 신청 절차 간소화

  • 기존: 병원 진단서, 입원확인서 등 제출 필수
  • 2025년: 간병 확인서 1장만 제출 가능

2) 지원금 확대

  • 중소기업 근로자의 지원금 1일 5만 원으로 인상
  • 저소득층 근로자의 경우 추가 지원금(2만 원) 신설

3) 긴급 휴가 사유 추가

기존에는 가족의 질병·사고·노령만 해당했으나, 2025년부터는 자연재해 및 감염병 발생으로 인한 돌봄 필요시에도 휴가 신청 가능합니다.

4) 기업의 휴가 거부 제한

  • 기업이 경영상 이유로 근로자의 가족돌봄휴가를 거부할 경우,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제소 가능
  • 부당한 휴가 거부가 확인될 경우, 기업에 최대 300만 원의 벌금 부과

결론

2025년 가족돌봄휴가 제도는 근로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신청 절차가 간소화되고, 지원금이 확대되었습니다. 특히, 중소기업 및 저소득층 근로자들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.

  • 신청하려면?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회사 HR 부서를 통해 미리 상담을 받아보세요.
  • 지원금을 받으려면? 가족돌봄비용 지원센터에서 신청 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부당하게 거부당하면? 노동위원회에 신고하여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가족을 돌보며 일과 가정을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, 2025년 변경된 가족돌봄휴가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!